동물은 죽어 무지개다리를 건넌다는데

사랑으로 키우던 동물이 죽었을 때, 흔히 ‘무지개다리를 건넜다’고 표현한다. 이 무지개다리를 건너서 고양이는 고양이 별에, 강아지는 강아지 별에 간다고 말한다. 실제로 그렇지 않다는 건 누구나 다 알지만,그렇게 서로를 위로하는 것이다. 무지개다리라는 말의 유래 그런데, 무지개다리를 건넌다는 표현을 사용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대략 20년 정도 되었을까? 이런 동화적인 표현은 어디서 비롯되었을까? 인터넷 세상을 검색해 보면, […]

동물은 죽어 무지개다리를 건넌다는데 더 읽기"

민수기 29장 각종 절기에 바치는 제물

민수기 29장 각종 절기에 바치는 제물 / 민수기 29장에는 나팔절, 속죄일, 초막절 등 각종 절기에 바치는 제물에 관한 말씀이 담겨있다. 구약시대의 절기는 언뜻 생각하기에 신약시대 이후 별 의미 없는 것으로 생각하기 쉬우나, 그렇지 않다. 오히려 예수 그리스도와 그분의 사역을 예표한다. 따라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 잘 살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민수기 29장 각종 절기에 바치는 제물

민수기 29장 각종 절기에 바치는 제물 더 읽기"

사사기 2장 여호와를 버리고

오늘 주일예배때 읽은 성경 말씀은 ‘사사기 2장 11절부터 15절’까지였다. 그 중에 중요하게 다가온 것은 ‘여호와를 버리고’라는 부분이었다. 사사기는 여호수아가 죽고 나서 왕정이 시작되기 전, 이스라엘이 12지파로 이뤄진 공동체로 운영되는 시기가 기록된 책이다. 사사기 2장 여호와를 버리고 이스라엘 자손이 여호와의 목전에 악을 행하여 바알들을 섬기며 애굽 땅에서 그들을 인도하여 내신 그 열조의 하나님 여호와를 버리고 다른

사사기 2장 여호와를 버리고 더 읽기"

예레미야 애가는 어떤 책인가?

예레미야 애가는 예레미야 다음에 나오는 5장의 짧은 말씀이다. 오늘 아침 비로소 52장이나 되는 예레미야 필사를 마치고 애가로 들어갔다. 이사야서가 66장이니 6장이 적은 것 같지만, 쪽수를 보면 예레미야가 113쪽으로 96쪽인 이사야서보다 7쪽이 더 길다(현대어 성경 기준). 애가란? 애가란 한자로 哀歌, 슬픈 노래라는 뜻이다. 히브리어로는 איכה 에카, 그리스어로는 Θρῆνοι 트레노이라고 하며, 영어로는 Lamentations라고 한다. lamentation은 애통, 한탄,

예레미야 애가는 어떤 책인가? 더 읽기"

이사야 26장 심지가 견고한 자

주께서 심지가 견고한 자를 평강에 평강으로 지키시리니, 이는 그가 주를 의뢰함이니이다. 너희는 여호와를 영원히 의뢰하라. 주 여호와는 영원한 반석이심이로다 (이사야 26장 3~4절) 심지가 견고한 자, 흔들리지 않는다 하나님께서는 심지가 견고한 자를 평강으로 지키신다. 심지心志란 마음에 세운 뜻, 마음에 품은 의지를 뜻한다. 견고堅固하다는 것은 굳고 튼튼하여 동요됨 없이 확고한 것을 말한다. 따라서 심지가 견고하다는 것은 마음에

이사야 26장 심지가 견고한 자 더 읽기"

야곱의 12 아들이 이스라엘의 12 지파로

야곱의 12 아들이 이스라엘의 12 지파로 이스라엘(야곱)은 아브라함의 손자이자 이삭의 아들이다. 그는 12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그들은 각각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조상이 되었다. 이스라엘은 나라의 이름이 되고, 그 아들의 이름은 역시 12 지파의 이름이 되었으니 재미있다. 그런데 야곱의 열두 아들 중 누가 형이고 동생인지 자꾸 헷갈린다. 일단 숫자가 너무 많다. 에서와 야곱, 가인과 아벨 하는 식으로

야곱의 12 아들이 이스라엘의 12 지파로 더 읽기"

민수기 28장 하나님께 드리는 예물

민수기 28장 하나님께 드리는 예물 민수기 28장과 29절에는 가나안 땅을 눈앞에 두고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일러주신 예물에 관한 말씀이 나온다. 예물에 관해서는 출애굽기와 레위기에서도 나온다. 이렇게 되풀이해서 말씀하시는 것은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이다. 1. 날마다 드리는 번제물 2절에 나오는 나의 예물, 나의 식물 되는 화제, 나의 향기로운 것은 모두 하나님께 드리는 예물을 가리킨다. 영어 성경과 비교해 보면

민수기 28장 하나님께 드리는 예물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