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25장 달란트의 비유

1. 마태복음 25장 달란트의 비유

마태복음 25장을 보면 ‘달란트의 비유’가 나온다. 어떤 사람이 먼 길을 떠나면서 종들에게 각각 5 달란트, 2 달란트, 1 달란트의 돈을 맡긴다. 5 달란트 받은 사람과 2 달란트 맡은 사람은 바로 가서 장사를 해서 두 배를 남긴다. 하지만 1 달란트 맡은 사람은 땅을 파고 주인의 돈을 감춰두었다.

오랜 시간이 흐른 뒤, 주인이 돌아와 그들과 결산을 하게 되었다. 앞의 두 사람이 보고를 마치자, 주인은 ‘잘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이라고 칭찬한다. 하지만 마지막 종의 보고에는 ‘악하고 게으른 종’이라며 내쫓으라고 한다.

혹자는 이를 두고 ‘부익부 빈익빈’이라며, 하나님도 돈 많은 사람을 축복하고 없는 사람을 홀대하는가 하기도 한다. 하지만 좀 더 생각해 보면 그것이 잘못된 생각임을 깨닫게 된다. 이 달란트의 비유에는 어떤 뜻이 담겨있을까.

2. 종들이 받은 것은 주인의 재산이었다

주인은 타국에 가면서 세 종을 불러 그들의 재능에 따라 자기 소유를 맡겼다. 종들이 받은 것은 선물이나 급여가 아니라 관리해야 할 주인의 재산이었다. 외국에 가 있는 동안 자기 재산을 관리하도록 맡긴 것이다. 세 명의 종들은 주인이 없는 동안 맡은 자산을 관리해야 했다. 자산 관리를 맡았으면, 돈을 굴려 늘려줘야 한다.

재능에 따라 맡겼다고 했다. 이는 각자의 능력과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맞춰 일을 맡겼음을 의미한다.

3. 결산

가. 5 달란트, 2 달란트 받은 종

오랜 후에 주인이 돌아와 그들과 결산을 하게 되었다. 5 달란트 맡은 자는 바로 가서 장사를 해 5달란트를 더 늘렸다. 2 달란트 받은 자도 역시 재산을 갑절로 불렸다. 5 달란트를 받았건 2 달란트를 받았건, 그들은 액수에 상관없이 둘 다 똑같은 칭찬을 받았다.

“잘하였도다 착하고 충성된 종아. 네가 작은 일에 충성하였으매 내가 많은 것으로 네게 맡기리니 네 주인의 즐거움에 참예할찌어다” (마태복음 25:21, 23)

나. 1 달란트 받은 종

그런데 1 달란트 받았던 자는 그들과 달랐다. 그는 주인이 맡겼던 1 달란트를 고대로 가지고 와서 이렇게 말했다.

주여 당신은 굳은 사람이라 심지 않은 데서 거두고 헤치지 않은 데서 모으는 줄을 내가 알았으므로, 두려워하여 나가서 당신의 달란트를 땅에 감추어 두었었나이다. 보소서 당신의 것을 받으셨나이다 (마태복음 25:24~25)

1) 굳은 사람

그는 주인의 재산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이유가 뭘까. 주인이 굳은 사람이라 두려웠기 때문이라고 한다. 여기서 ‘굳다(스크레로스)’는 말은 ‘심지가 굳다’는 뜻이 아니라, 혹독, 잔인, 무자비하다는 뜻이다.

그는 또 주인을 ‘심지 않은 데서 거두고 헤치지 않은 데서 모으는’ 사람으로 알았다고 했다. 주인은 그런 능력자이므로, 자기가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좋지 않았느냐는 말이다. 이것이 온당한 말일까. 오늘날로 생각해 보아도 말이 되지 않는다. 고용주가 능력자면, 직원은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되는가. 말도 안 되는 핑계다.

2) 두려워하여

그런데, 그는 또 ‘두려워하여’ 돈을 땅에 감춰두었다고 한다. 무엇을 두려워했는지 알기 어려워 다른 번역을 살펴보았다. 현대어 성경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었다.

주인님, 저는 주인님이 씨를 뿌리지도 않은 곳에서 거두어들이고 심지도 않은 데서 모아 들이는 인색하고 매정한 분이신 줄을 잘 알고 있지요.

그래서 제가 이익을 남기더라도 빼앗아 갈 것이므로 돈을 다만 땅 속에 감추어 두었다가 그냥 가지고 왔습니다! (마태복음 25:24~25)

1 달란트 받은 사람이 무엇을 두려워했는지 나와있다. 그는 자기가 열심히 일해서 늘린 재산을 주인에게 뺏길까 두려워했던 것이다. 기가 막히다.

그는 틀렸다. 전적으로 틀렸다. 주인이 어떤 사람인지 오해했을뿐더러, 자기 임무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 문제는 거기 있었다.

다. 주인과 종

그 주인은 어떤 사람인가. ‘작은 일에 충성했다’는 칭찬에서 답을 찾을 수 있다. 첫째, 주인은 5 달란트건 2 달란트건 모두 작은 일에 불과한 큰 사람이었다. 둘째, 그가 바란 건 오로지 충성이었다.

종의 임무는 무엇인가. 맡은 재산을 잘 관리하는 것이다. 그것이 충성이다. 관리해서 늘려도 주인이 다 빼앗아 가겠지 하는 발상의 밑바닥에는 탐심이 숨어있다. 자기 것이 아닌 주인 것인데, 남의 것을 내 것으로 하고 싶다는 생각. 직원이 아닌 도둑의 마음이다.

라. 결국

기업체 직원이 이렇게 했다면 해고 감이 아닌가. ‘이 무익한 종을 바깥 어두운 데로 내어 쫓으라. 거기서 슬피 울며 이름 갊이 있으리라’는 결정은 타당하다. 무익하다는 것은 이익을 남기지 못하고 본전을 그대로 가져와서가 아니다. 마음을 감찰하시는 하나님께서는 행위의 동기까지 살피신다. 사랑하는 마음, 충성 없음이 무익함이다.

‘무릇 있는 자는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그 있는 것까지 빼앗기리라(29절)’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역시 부익부 빈익빈인가. 그렇지 않다. 여기서 있는 자, 없는 자는 물질이 있고 없고를 의미하지 않는다. 있는 자는 5 달란트, 2 달란트 받은 자, 즉 주인이 누구인지, 주인의 뜻이 무엇인지 알고 그 즉시 순종한 사람을 뜻한다. 없는 자 역시 1 달란트 받은 자, 즉 주인의 뜻도 모르고 거역한 자, 책임을 다하지 않는 자를 말한다.


마태복음 24장, 25장은 종말과 심판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마태복음 25장 달란트의 비유에서 주인은 하나님, 종은 우리를 가리킨다. 바깥 어두운 데는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곳, 하나님과 단절된 심판의 장소를 뜻한다.

우리는 마지막 날 행위대로 심판받는다.

  • 인자가 아버지의 영광으로 그 천사들과 함께 오리니 그때에 각 사람의 행한 대로 갚으리라 (마태복음 16:27)
  • 이는 우리가 다 반드시 그리스도의 심판대 앞에 드러나 각각 선악 간에 그 몸으로 행한 것을 따라 받으려 함이라 (고린도후서 5:10)

우리는 오직 믿음으로 말미암아 구원을 받는다. 구원받은 성도는 일생동안 거룩하게 되어가는 성화의 과정을 겪는다. 그때 맺는 행위들이 바로 믿음의 열매다. 나무는 그 열매로 판단을 받는다. 나는 어떤 열매를 맺는 나무가 될 것인가.

※ 달란트

종들은 각각 5 달란트, 2 달란트, 1 달란트를 맡았다. 고대 서아시아와 그리스에서는 질량과 화폐 단위로 달란트(talentum, τάλαντον)를 썼다. 구약시대 이스라엘에서 1달란트는 약 34.27kg이었다. 신약시대 그리스, 로마에서 1 달란트는 약 20.4kg였다.

요즘 시세로 환산하면, 금이었을 때 각각 84억, 34억, 17억, 은이었을 때는 각각 1억1천, 7천, 2천만원 정도 된다.

마태복음 25장 달란트의 비유
고대 로마의 금화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예수님의 재림 & 심판에 관한 성경구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