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5 광복절을 맞아

8.15 광복절을 맞아

8.15 광복절을 맞아 / 8월 15일은 광복절이다. 광복 光復이라는 말은 빛 광에 다시 복자를 쓴다. 빛을 되찾는다는 의미다. 되찾는 것은 그전에 빼앗기고 잃었던 것을 전제로 한다. 주권을 잃기 전, 그 나라가 힘이 있던 것도 아니고, 안정된 나라도 아니었다. 보다 강한 나라에 굴복해 이 나라가 내 나라려니 여기고 순응하며 살 수도 있었을 텐데, 우리 조상들은 그러지 않았다. 빛을 되찾고자 많은 것을 희생했고, 목숨까지 내놓았다. 어떤 빛을 되찾고자 그렇게 애썼던 것일까.

8.15 광복절을 맞아
광복 70년 천왕봉함 대형 태극기

성경은 참 빛 곧 세상에 와서 각 사람에게 비취는 빛, 세상을 지었으나 세상은 알지 못하는 빛인 예수 그리스도(요한복음 1:9~10)를 증거한다. 이 빛은 곧 말씀인 동시에 하나님이시며 또한 생명이다(요한복음 1:1, 4). 예수님께서도 스스로 ‘나는 세상의 빛’이라고 하셨다(요한복음 8:12). 

참 빛을 잃은 백성은 암울하다. 그들에게는 인권이나 자유가 없다. 대신 억압과 통제가 있다. 예수님께서는 포로되고 눌린 자를 자유케 하기 위해 오셔서(누가복음 4:18) 죄에 눌려 지내던 우리를 당신의 보혈로 해방시키셨다(요한계시록 1:5). 

가장 좋은 것은 참 빛을 빼앗기지 않고 지키는 것이다. 하지만 이 빛을 인정하지 않는 자들에게 빼앗길 위기가 되면, 우리 조상들은 분연히 일어나 저항하고 그 빛을 되찾기 위해 애썼다. 

일제 식민 통치의 억압에서 벗어났기에 해방이라는 말도 쓰지만, 공식 명칭은 어디까지나 광복절이다. 참 빛을 되찾아왔기에 광복이다. 해방이나 독립 대신 광복이란 말을 쓰는 것은 참 빛 예수 그리스도를 빼고는 설명하기 어렵다. 3.1운동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16명이 기독교인이었고, 함께 재판받은 48명 가운데 22명이 기독교인이었다는 것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당시 기독교인이 전체 인구의 2%에 불과했던 것을 생각하면 더욱 놀라운 비중이다. 

우리가 날마다 드리는 주기도문에서 우리는 하나님 나라와 주권과 영광을 오직 주님께 돌린다. 우리는 그 나라를 꿈꾼다. 이 세상에 살 동안 대한민국이 그에 걸맞은 나라가 되길, 이 백성이 그 나라에 어울리는 백성이 되길 바란다. ‘이게 나라냐’며 불평하고 자조하기 전에, 그보다 더한 나라도 없으면 안 되기에 지키고자 피 흘린 이들이 있었음을 잊지 않길, 믿음의 백성들이 거룩한 백성으로 거듭나길 바란다. 


  1. 이 글은 정동 제일교회 주일예배 (2023. 8. 13. 광복 기념 주일예배)를 드리고 정리한 것입니다. 제 생각을 정리했기에 설교내용과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설교 본문이 필요한 분들은 맨아래 동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8.15 해방이라고도 하지만 공식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정치 이데올로기 문제도 있기 때문이다. 해방이라는 말을 즐겨 사용하는 특정 집단이 있을뿐더러, 북한은 8.15를 ‘조 국해방기념일’로 지정해 기념하고 있다.
  3. 독립기념일이라고 하지 않는 것은 우리나라가 비록 잠시 주권 침탈은 당한 적 있으나, 그전에는 어엿한 독립국이었기 때문이다. 독립기념일이라는 말은 식민지에서 출발했다가 독립한 나라에서 기념하는 날이다. 영국의 식민지였다가 독립한 미국이 그 좋은 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사방으로 우겨쌈을 당하여도 싸이지 아니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