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

그림 읽어주는 미술관 Lite

그림 읽어주는 미술관 Lite ‘명화를 그저 눈으로만 볼게 아니라, 설명을 들으면서 감상하면 좋을 텐데… ‘했던 사람이라면 반가워할 앱이 있다. 바로 ‘그림 읽어주는 미술관’이라는 앱이다. ‘그림을 읽어주다니? 그림은 보는 것 아니었어?’ 하겠지만 정말 그림을 읽어준다. 작가와 그림에 얽힌 이야기들을 마치 박물관 도슨트처럼 자상하게 이야기 해 준다. 그림 읽어주는 미술관 Lite 현재 반 고흐, 모네 등 12명의 […]

그림 읽어주는 미술관 Lite 더 읽기"

움직이는 그림 청명상하도 高清版《清明上河圖》 River of Wisdom (HD)

움직이는 그림 청명상하도 River of Wisdom (HD) 이 아름다운 동영상은 청명 페스티벌 ‘지혜의 강’ 강변 장면을 녹화한 것으로, ‘청명상하도’의 애니메이션 버전이다. 음악은 유명한 중국음악으로 “Riverside Scene at Qingming Festival”에서 발췌된 것이라고 한다. 우리가 그동안 CF에서 자주 보던 것 처럼 명화를 애니메이션화 한 것인데, 소박한 그림체가 우리나라 민화를 보듯 정겹고 입체감은 정교하기까지 하다. 13분이 넘는 좀

움직이는 그림 청명상하도 高清版《清明上河圖》 River of Wisdom (HD) 더 읽기"

뭉크의 절규

한 20년쯤 전인가 정말 재미있게 보았던 영화 ‘나 홀로 집에’ . 이 영화에는 맥컬리 컬킨의 이런 귀여운 표정이 자주 나온다. 그리고는 어김없이 뒤따르는 찌르는 듯한 비명 소리. 뭉크의 절규 – 소리없는 외침 이 얼굴을 볼 때마다 자연스레 떠오르는 명화가 있었으니 바로 노르웨이의 화가 뭉크(에드바르드 뭉크,Edvard Munch, 1863년 12월 12일 ~ 1944년 1월 23일)의 ‘절규’다. 이

뭉크의 절규 더 읽기"

감자를 싫어하셨던 아버님과 고흐의 감자먹는 사람들

감자를 싫어하셨던 아버님과 고흐의 감자먹는 사람들 1. 감자 길었던 겨울, 그리고 꽃샘 추위. 봄이 오나 싶더니 어느새 여름에 밀려나려는지 볕에 서면 땀이 배어 난다. 요맘때쯤 되면 새로 나와 우리 입을 즐겁게 해주는 햇 감자. 감자 국, 감자 전, 감자 수제비… 많기도 하다. 강원도에 가면 감자 송편까지 있으니 감자로 못하는 음식은 또 뭘까. 감자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감자를 싫어하셨던 아버님과 고흐의 감자먹는 사람들 더 읽기"

살아 움직이는 명화,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

살아 움직이는 명화,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 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 가운데 가장 유명하다고 할 수 있는 작품인 별이 빛나는 밤. 이 작품을 볼 때 마다 불타오르는 느낌, 흐르는 듯한 느낌… 이런 느낌을 받게되곤 하는데요, 실제로 그런 느낌을 살린 동영상이 있습니다. 오늘 아침 페이스북에서 발견하게 되었는데요, 별이 빛나는 밤은 Petros Vrellis와 오픈프레임웍스 덕분에 살아 움직이는

살아 움직이는 명화,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 더 읽기"

프라고나르 ‘독서하는 소녀’

프라고나르 ‘독서하는 소녀’ 오늘 소개해드릴 그림은 프라고나르 ‘독서하는 소녀’ 입니다. 이 ‘독서하는 소녀’의 모델은 프라고나르가 돌아가신 부모님들 대신해서 딸처럼 돌봐준 마르그리트 제라르라는 어린 처제입니다. 마르그리트가 때때로 형부를 ‘Papa!’라고 부르기도 했다니 이런 밝고 따뜻한 그림이 나오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었나봅니다. 요즘 우리나라로 치면 여고생정도로 보이는 소녀의 넓은 이맛전과 우아한 눈썹의 아치, 내리깐 속눈썹, 오똑한 코와 정말

프라고나르 ‘독서하는 소녀’ 더 읽기"

프라고나르 ‘그네’

프라고나르 ‘그네’ 로코코시대의 느낌을 잘 표현한 프라고나르( Jean Honor Fragonard)의 그림 ‘그네’. 그림 중앙에는 화사한 색채로 그네를 타는 여인이 묘사되어 있고, 그 여인 양 쪽으로 왼쪽엔 젊은이, 오른쪽 그늘엔 그네를 줄로 당기는 노인이 그려져있다. 오른쪽의 노인은 그네를 줄로 조종하고 있는데, 이것은 이 노인이 그네타는 여인의 배후 실세임을 의미하며, 왼쪽의 젊은 귀족은 노인으로 부터 시선이 차단된

프라고나르 ‘그네’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