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상

성경말씀과 묵상

신명기 4장 하나님께 순종하라

신명기 4장 하나님께 순종하라 신명기 4장의 내용은 1. 하나님께 순종, 2. 우상 숭배하지 말 것, 3. 유일하신 하나님 4. 선택된 백성임을 잊지 말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1. 오직 한분이신 여호와 하나님께 순종하라 1절, 규례와 법도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규례(規例)와 법도(法度)는 영어 성경에서 각각 statutes(법령, 법규)와 judgments(판결), 또는 decrees(법령, 판결)와 laws(법, 법률, 법규)로 번역되고 있다. […]

신명기 4장 하나님께 순종하라 더 읽기"

소돔과 고모라 그리고 예루살렘

소돔과 고모라 그리고 예루살렘 소돔과 고모라 그리고 예루살렘. 소돔과 고모라는 그 악함으로 멸망한 도시다. 예루살렘은 하나님의 성전이 있던 곳이다. 소돔과 고모라는 타락했고 예루살렘은 거룩했을 것 같다. 하지만 과연 그랬을까. 예루살렘이 처음부터 거룩한 것은 아니었다. 그곳은 원래 가나안 땅에 살던 여부스 족속의 땅이었고, 이름도 그 족속 이름과 같은 여부스였다. 그랬던 것을 다윗이 정복하고 이름을 예루살렘으로 바꿨다.

소돔과 고모라 그리고 예루살렘 더 읽기"

신명기 3장 바산 왕 옥을 물리치다

신명기 3장 바산 왕 옥을 물리치다 신명기 3장에서 모세는 바산 왕 옥을 물리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 사건은 민수기 21장에도 기록되어 있다. 바산이라는 말은 비옥하고 기름지며 돌이 없는 평지라는 뜻이다. 북쪽으로 헬몬산에서 흘러나온 발트강, 서쪽으로 갈릴리 호수를 끼고 있는 이곳은 거대한 곡창지대였다. 바산은 오늘날의 골란 고원을 가리킨다. 1. 바산 왕 옥을 이기다 1절, 이스라엘 백성들은

신명기 3장 바산 왕 옥을 물리치다 더 읽기"

신명기 2장 가데스 바네아 이후 광야 생활

신명기 2장 가데스 바네아 이후 광야 생활 신명기 2장에는 가나안땅으로 12 정탐꾼을 보냈다가 불순종으로 광야에서 40년을 보낸 이야기가 담겨있다. 1. 에돔, 모압 족속과 싸우지 말라고 하심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 말씀에 따라 가데스 바네아에서 길을 돌려 아카바만의 홍해 길을 따라 다시 광야로 들어갔다. 1절에는 ‘여러 날 동안 세일 산을 두루 돌아다녔다’, ‘너희가 이 산을 두루 행한

신명기 2장 가데스 바네아 이후 광야 생활 더 읽기"

신명기 1장 신명기의 의미와 가데스 바네아까지 회고

신명기 1장 신명기의 의미와 가데스 바네아까지 회고 민수기를 끝내고 드디어 신명기가 시작되었다. 먼저 신명기가 어떤 책인지 살펴보고 1장 본문을 읽기 시작하도록 하겠다. 신명기는 어떤 책인가? 신명기는 창세기 – 출애굽기 – 레위기 – 민수기에 이어 나오는 다섯 번째 책으로, 모세 5경 가운데 마지막 책이다. 신명기(申命記)란 이름을 보자. 申은 반복, 거듭이라는 뜻이 있다. 이렇게 보면 하나님의 명령,

신명기 1장 신명기의 의미와 가데스 바네아까지 회고 더 읽기"

민수기 36장 상속녀가 결혼하면 상속받은 땅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민수기 36장 상속녀가 결혼하면 상속받은 땅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나님께서는 슬로브핫의 딸들의 사례를 통해 아들 없이 딸만 둔 자들의 상속 규정을 율례로 정해주신 바 있다(민수기 27장). 민수기 36장에서는 그렇게 상속받은 딸들이 결혼하면 그 땅은 어디에 속하게 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말씀이 기록되어 있다. 1. 길르앗 자손의 문제 제기 요셉의 아들 므낫세의 자손 중에 마길이 있었다.

민수기 36장 상속녀가 결혼하면 상속받은 땅은 어떻게 해야 하는가? 더 읽기"

민수기 35장 도피성

민수기 35장 도피성 민수기 35장에선 각 지파에서 레위 사람들을 위해 48개의 성읍을 줄 것과, 실수로 사람을 죽인 사람을 위한 도피성 6곳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1. 레위인이 차지할 성읍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모압 평지에 진을 치고 머물러 있을 때, 가나안 땅에 들어가서 지켜야 할 규례들을 말씀하셨다(민수기 22~36장). 민수기 35장은 그중에서 레위인을 위한 성읍과 도피성에 관한 말씀이다.

민수기 35장 도피성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