雜文集

잡문집 – 책, 영화, 기사, 그밖의 경계가 모호한 모든 글들

질그릇과 같은 우리

<질그릇과 같은 우리 오래전, 메소포타미아의 테라코타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본 적이 있다. 석재가 드문 그곳에서는 진흙을 반죽해 구워 쓰는 테라코타가 발달했다. 일찍부터 발달했고 다양한 방면에 널리 쓰였다. 하지만 흙과 연료의 문제로 높은 온도에서 구울 수 없어 강도가 약했고 아름답지도 않은 그 단계에서 머물게 되었다고 한다. 질그릇은 이쁘지도 않고 잘 깨진다. 고급도 아니고 싸구려 막그릇이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

장마비 내리는 소리

1. 장마비 내리는 소리 비가 내린다. 장맛비다. 이제야 겨우 장마가 시작 되었다. 어젯밤부터. 길고 긴 여름 동안 너무나 가물었다. 땅은 갈라지고 먼지만 날렸다. 담쟁이 덩굴마저 누렇게 죽어버린 목 마른 여름이었다. 어찌나 건조했는지 … 뉴스에서 보는 저수지나 댐들은 거의 바닥을 드러낼 지경이었다. 비가 온다. 생명을 담은 비. 어찌 감사하지 않을 수 있으랴. 장마비 내리는 소리 조차

아티스트 웨이 / 첫번째 모닝 페이지

<아티스트 웨이 / 첫번째 모닝 페이지> 아티스트 웨이라는 책을 읽기 시작했다. 12주 동안 창조성을 되찾기에 관한 훈련서다. 방법으로 모닝 페이지와 아티스트 데이트를 추천한다. 그중에서 아직 아티스트 데이트는 읽지 못했다. 먼저 모닝 페이지를 시작해 본다. 별 신빙성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처음에는. 하지만 이걸로 너무나 많은 사람들이 효과를 보았다지 않는가. 세 페이지만 쓰고 접어 넣는 방법. 뭘

정재승진중권의 크로스

정재승진중권의 크로스 ‘무한 상상력을 위한 크로스‘가 원래 제목이다. 방학을 맞아 공부 제대로 하겠다며 토익학원에 등록하러 간 딸을 기다리다 근처 서점에서 발견한 책인데, 요즘 한창 재미있게 읽고 있다. 원래 제목보다는 두 작가 이름을 붙여 ‘정재승 진중권의 크로스’라고 하게 된다.  이 두 사람의 생각들이 기본적으로 내가 생각하는 것과 상당히 공통된 것이 많고, 과학자와 미학자로서 다방면에 걸친 전문가적 식견이 배울

소년중앙, 새소년을 아시나요?

소년중앙, 새소년을 아시나요? 1. 황금박쥐로 시작한 잡지구독 내가 최초로 구독한 잡지는 소년중앙이었다. 그것은 내가 4살 때 일이었는데, 줄글이 줄줄 써 있는 본책을 읽고자 했던 것이 아니라 어디까지나 별책부록으로 나온다고 연일 광고하던 ‘황금박쥐’ 때문이었다. 몇날 며칠을 부모님께 졸랐고, 드디어 어느 날 퇴근 길 아버지 손에 들려있던 소년중앙(정확히는 황금박쥐 만화책)은 정말 잊을 수 없는 기쁨이었다. 황금박쥐로 시작한

와이와이 하와이 / 3천원에 산 여행 안내서

와이와이 하와이 / 3천원에 산 여행 안내서 블랑블랑님께서 알라딘에서 무려 77% 할인을 한다는 귀한 정보를 주셔서 구입하게 된 책 와이와이 하와이. 이 책을 쓴 쿠마 쿠마라는 분은 잡지와 웹에서 활약하고 있는 일러스트레이터. 어쩐지 촌스러운 듯 귀여운 필체로 담아내는 내공이 남다르다 느껴지긴 했다. 이 책은 커플들의 낙원이라는-늙거나 젊거나- 하와이에 혼자 가서 오랜 기간 지내며 일반 여행객들은 그냥 지나치기

제프리 쇼, 예술, 기술 그리고 놀이

<제프리 쇼, 예술, 기술 그리고 놀이> 1. Waterwalk 제프리 ‘쇼’라 길래, 솔직히 데이빗 레터맨 쇼 같은 토크 쇼 프로그램 이름인 줄 알았다. 미안. Jeffrey Show가 아니라 Jeffrey Shaw일 줄이야 누가 알았겠나. 한글로 쓰여 있었는데 말이지. 그런데 알고 보니 이분이 Show와도 전혀 무관하지는 않은 것이, 바로 물 위에 비닐로 된 튜브(혹은 터널?)를 띄우고 물 위를 걷게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