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크의 절규

한 20년쯤 전인가 정말 재미있게 보았던 영화 ‘나 홀로 집에’ . 이 영화에는 맥컬리 컬킨의 이런 귀여운 표정이 자주 나온다. 그리고는 어김없이 뒤따르는 찌르는 듯한 비명 소리. 뭉크의 절규 – 소리없는 외침 이 얼굴을 볼 때마다 자연스레 떠오르는 명화가 있었으니 바로 노르웨이의 화가 뭉크(에드바르드 뭉크,Edvard Munch, 1863년 12월 12일 ~ 1944년 1월 23일)의 ‘절규’다. 이 […]

찔레꽃

찔레꽃 요 며칠은 정말 초여름을 실감하겠다. 어젠 어쩜 그렇게 공기마저 달궈졌는지. 아침부터 돌아다니다 오후 늦게 들어오니 완전 녹초. 봄부터 초여름까지 높지않은 산기슭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는 이것의 이름은 바로 찔레꽃이다. 집 근처 울타리에 심겨있는데, 이 하얀 찔레가 질 무렵이면 뒤미쳐 새빨간 넝쿨장미들이 앞다퉈 피어난다. 사촌지간인 이 두 꽃을 한 곳에 심은 것은 누구의 센스였을까? 아래는 이

감자를 싫어하셨던 아버님과 고흐의 감자먹는 사람들

감자를 싫어하셨던 아버님과 고흐의 감자먹는 사람들 1. 감자 길었던 겨울, 그리고 꽃샘 추위. 봄이 오나 싶더니 어느새 여름에 밀려나려는지 볕에 서면 땀이 배어 난다. 요맘때쯤 되면 새로 나와 우리 입을 즐겁게 해주는 햇 감자. 감자 국, 감자 전, 감자 수제비… 많기도 하다. 강원도에 가면 감자 송편까지 있으니 감자로 못하는 음식은 또 뭘까. 감자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철쭉, 오월의 꽃

벚꽃이 봄을 알리는 4월의 꽃이라면 그 뒤를 잇는 오월의 꽃은 감히 철쭉이라 하겠다. 공원에, 길에, 주택가에 지천으로 흐드러지게 피어있는 철쭉들. 얇으레한 꽃잎은 그 자체가 레이스인양 호드르 떨림까지 있어 들여다보면 볼 수록 곱다. 때론 순수한 흰 빛으로, 또 때론 단장한 듯 선명한 꽃자주 빛으로 우리에게 다가든다. 요즘은 개량된 품종들인지 가지각색의 철쭉들이 있지만 가장 거부감 없이 아름답게

누군가 있다!

‘누군가 있다!’ ‘누군가 있다!’ 머리칼이 쭈뼛해지면서 슬몃, 간이 오그라드는 듯 했다. 눈이 번쩍 떠졌다. 뭔가 거슬려 잠에서 깼나본데,  밖에 누군가 있는 것 같다. 분명 아무도 없을텐데 말이지. 그래도 무슨 소리가 들린다. 정수기가 작동될 때 나는 것 같은 희미한 종소리, 의자에 앉아 자세를 바꿀 때 들릴 법한 삐걱대는 소리… ‘자, 침착하자.’ 좀 더 잠에서 벗어나면서 생각이란

내가 네 안에, 네가 내 안에

내가 네 안에, 네가 내 안에 “내가 네 안에, 네가 내 안에” 내가 읽은 문장 가운데 가장 짜릿한 문장이다. ‘함께’ 있는 것도 아니고 서로의 ‘안’에 있다니! 대단한 사랑이다. 많은 사랑 이야기들 속에서 주인공들은 ‘상대방의 눈동자에 비친 자기 모습’을 발견하면서 사랑에 빠지곤 한다. 하지만 눈동자를 넘어서 그 사람 내면에 내가 있고 내 안에 그 사람이 있다는

내가 나 된 것은

그러나 내가 나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된 것이니 내게 주신 그의 은혜가 헛되지 아니하여 내가 모든 사도보다 더 많이 수고하였으나 내가 한 것이 아니요 오직 나와 함께 하신 하나님의 은혜로라 고린도전서 15:10 ‘하나님의 은혜’ 찬양 듣기 아침, 바쁜 시간을 보내다 들은 찬양이 바로 ‘하나님의 은혜’. 이 노래를 들으면서 떠오른 말씀을 찾아보니 2009년 7월 27일에 이미 블로그에 올린 적이 있었다. 그 글을 찾아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