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어린이를 위한 예수님 탄생 이야기 3편

어린이를 위한 예수님 탄생 이야기 3편 내일은 크리스마스입니다. 어린이를 위한 예수님 탄생 이야기 3편을 모아 봤습니다. 1. 어린이를 위한 예수님의 이야기. – 우리말 더빙 – 거의 60분에 가깝기 때문에 집중력이 발달한 좀 연령대 있는 아이들에게 권합니다. 2. ㄱㄴㄷ, abc, 숫자와 함께하는 아기예수 시리즈 – 아기 예수님 탄생 이야기를 놀이학습과 연계시킨 특이한 동영상 – 재미 일러스트작가 […]

어린이를 위한 예수님 탄생 이야기 3편 더 읽기"

수영장, 그리고 엄마

수영장, 그리고 엄마 아마 초등학교 5학년, 아님 6학년 쯤 되었을 때였을 게다. 여름이었는데 친구들과 어찌어찌 하다 날도 덥고 하니 수영장에 가서 놀기로 하고 신나게 집으로 들어갔다. 아뿔사, 엄마가 안 계셨다. 수영가방은 혼자 챙겨도 해결 되지 않는 것이 있었으니 바로 입장료, ‘돈’이 문제였다. 돼지 저금통이며 책상 서랍을 다 뒤져도 입장료가 되기엔 얼마큼이 모자랐다. 옳거니! 그때 한

수영장, 그리고 엄마 더 읽기"

나이가 든다는 것, 그리고 입말교육

나이가 든다는 것, 그리고 입말교육 나이가 들면  말이 많아지고 누군가를 가르치려 든다고 사람들은 곧잘 말 한다. 그리고 그것을 늙어가는 증표로 삼는다. 중장년에 접어드는 사람들 스스로도  ‘말을 줄이자, 남을 가르치려 들지 말자’고 다짐하곤 한다. 말하고 누군가를 가르치려는 것 자체가 남에게 끼치는 민폐로 여겨지고 있는 느낌이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인류가 오늘날 이만큼 발전하게 된 것은 먼 조상때

나이가 든다는 것, 그리고 입말교육 더 읽기"

접촉위안(contact comfort) – 아이들이 엄마를 좋아하는 이유

접촉위안(contact comfort) – 아이들이 엄마를 좋아하는 이유 모든 아이들은 엄마를 좋아한다. 몇몇 특수한 경우도 있겠지만 이것은 거의 절대적이다. 심지어 인간뿐 아니라 동물들도 그렇다. 많은 사람들이 이것을 엄마가 자식의 생존에 필요한 먹을 것의 공급원이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위스콘신대학의 해리 할로우는 실험을 통해 접촉위안(contact comfort)의 중요성을 밝혀내 생물학적 이유 뿐 아니라 심리학적인 이유가 있다는 사실을 알렸다. 아기들은 끊임없이 빨아

접촉위안(contact comfort) – 아이들이 엄마를 좋아하는 이유 더 읽기"

어린이, 우리의 희망

어린이, 우리의 희망 아이들은 어른들의 부속물이나 축소판이 아니라 독립적인 인격체입니다. 젖먹이 아이들에게도 나름의 생각이 있으며 논리가 있습니다. 작은 도토리에 커다란 떡갈나무가 담긴 기적보다 더 큰 기적이 우리 아이들에게 있습니다. 그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우리가 무심코 뭉개고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될 때가 있습니다. 여린 떡잎을 짓밟아 상처내고있는 것은 아닌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아이들을 아이들답게 키우고 싶습니다. 함께 읽으면

어린이, 우리의 희망 더 읽기"

기브티켓(giveticket)을 아세요? / 겨울방학 부담덜기 1탄

기브티켓(giveticket)이란.. 국내 유명 공연장의 미판매 공연티켓을 60 ~80% 할인된 가격에 판매하여, 초·중·고교생 및 교사의 예술향유 기회 확대 및 미래 잠재고객 개발을 위한 제도입니다. 초중고교생 이나 교사면 누구나 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이 기브티켓의 홈페이지(www.giveticket.or.kr) 를 방문해보았습니다. 붉은색으로 표시해 놓았는데요, 1번) 회원가입을 해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번) 사용수칙이 적혀있네요. 지정좌석제가 아니다. 공연 당일 매표소에서 좌석을

기브티켓(giveticket)을 아세요? / 겨울방학 부담덜기 1탄 더 읽기"

온라인 교육이 학교교육을 대체할 수 있을까?

온라인 교육이 학교교육을 대체할 수 있을까? 하이컨셉님의 글, ‘교육의 미래, 온라인이 학교를 대체할 것인가?’ 을 읽고  몇 가지 생각난 것을 적어봅니다. ‘온라인 교육이 학교교육을 대체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정말 조심스럽게 다뤄야할 문제입니다. 현장에 적용하기 전에 다음과 같은 것들을 잘 따져봐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1. ‘학습’의 정의를 어떻게 세우느냐가 제일 큰 문제입니다. 사실 학교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온라인 교육이 학교교육을 대체할 수 있을까?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