雜文集

잡문집 – 책, 영화, 기사, 그밖의 경계가 모호한 모든 글들

파르테논과 아테나의 원래 모습 아시나요

여호와께서 이같이 말씀하시되, ‘열방의 길을 배우지 말라. 열방인은 하늘의 징조를 두려워하거니와 너희는 그것을 두려워 말라. 열방의 규례는 헛된 것이라. 그 위하는 것은 삼림에서 벤 나무요, 공장의 손이 도끼로 만든 것이라. 그들이 은과 금으로 그것에 꾸미고 못과 장도리로 그것을 든든히 하여 요동치 않게 하나니, 그것이 갈린 기둥 같아서 말도 못하며 걸어다니지도 못하므로 사람에게 메임을 입느니라. 그것이 […]

세계 각국의 요일 이름 유래

월-화-수-목-금-토-일, Sunday-Monday-Tuesday-Wednesday-Thursday-Saturday-Sunday… 우리나라 요일 이름과 비슷한 듯 다른 세계 각국 요일 이름. 이레를 한주로 묶고, 그 이름을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천체의 이름으로 붙인 것은 동서양이 같다. 그렇다면 1주일을 7일로 하고 각각 다른 이름을 붙인 것은 무슨 까닭일까? 누가 시작했을까? 세계 각국의 요일 이름은 어디서 유래되었을까? 1.메소포타미아에서 시작 아주 옛날, 하루를 24시간, 1년을 12달로 하는

고지혈증에 좋은 채소볶음쌀국수

식구들 반이상이 금체질이라 고기와 밀가루, 유제품을 먹으면 안 된다. 해산물과 푸른 잎채소 위주로 먹어야 한다. 금체질인 사람이 몸에 맞지 않는 음식을 먹다보면 고지혈증에 걸리기 쉽다. 남편이 바로 그런 케이스. 그러다 보니 쌀밥과 쌀국수를 사용한 요리를 주로 만들게 된다. 그래서 오늘 저녁 먹은 것 역시 채소볶음쌀국수. 고기와 유제품, 밀가루, 뿌리 채소. 거기에 버섯마저 빼고 식단을 짜자니

학교에서 배웠지만 잘 몰랐던 미술

길을 걷다 보면 어쩐지 자연스럽게 책방에 들르게 된다. 새 책을 파는 서점에 갈 때도 있지만, 중고 책방도 자주 구경한다. 중고 서점에는 보물찾기 하는 재미가 있다. 책의 숲에서 미처 생각하지도 않던 재미있는 보물을 발견할 때가 있다. 지금 읽는 ‘학교에서 배웠지만 잘 몰랐던 미술’ 도 그런 책이다. 미술에서 보이는 것들, 재발견하기 이 책이 내 눈길을 끌었던 것은

9천 원짜리 간장게장 정식/ 해변의 꽃게

올 봄이 되면서부터 궁금하던 곳이 있었다. 간장게장정식을 9천원에 판다는 해변의 꽃게라는 집이었다. 이상하게 약속을 잡을 때마다 무산되어 결국 지난 월요일에서야 가게 되었다. 꽃게탕도 맛있지만, 게장은 나름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이 있다. 해변의 꽃게 안국동쪽 보다 종로 쪽에서 들어가는 편이 훨씬 가깝다. 종로에서 안국동을 바라보고 걷다보면 왼쪽 골목으로 들어가 다시 왼쪽으로 꺾어들어간 막다른 골목에 해변의 꽃게가

치즈 오믈렛 – 든든한 한 끼

치즈 오믈렛은 달걀과 치즈 만으로도 가능하다. 간단하면서도 부드럽고 든든한 한 끼가 된다. 사실 오믈렛은 냉장고에 있는 것이 무엇이든 그것으로 뚝딱 만들어낼 수 있는 기특한 음식이다. 버섯을 넣으면 버섯 오믈렛, 감자를 넣으면 포테이토 오믈렛이 된다. 무엇이든 넣을 수 있다. 엄마표 오므라이스 – 처음 만난 오믈렛 나에게 있어 최초의 오믈렛은 볶음밥을 넣어 만든 엄마표 오므라이스였다. 감자, 양파,

환경과 성경 – 하나의 커다란 그림책

하나님은 우리에게 두 가지 책을 주셨다고 한다. 바로 자연과 성경이다. 내가 보기에 환경과 성경, 이 둘은 따로따로가 아니다. 둘이 합쳐져 큰 그림책을 이룬다. 자연은 그림이고 성경은 본문 내용이다. 그런데 그 그림은 하나님이 그리신 그대로 가만있는 것이 아니다. 창작하신 하나님과 독자이자 주인공인 인간, 그리고 배경 되는 자연의 유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계속 변화한다. 그래서 자연은 우리를 둘러싼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