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작가 수업 – 오래된 여행자 이지상의 매혹적인 글쓰기

여행기는 허구도 아니지만 사실적인 보고서도 아니다. 가이드북이나 문화탐사기 등은 좀 더 사실에 가깝지만, 그것 역시 수 많은 현실 경험 중에서 저자의 프레임이 걸러낸 부분적인 기억을 편집한 것이다. 다만 여행기가 말랑말랑한 빵이라면 가이드북이나 문화탐사기는 좀 딱딱한 빵이라는 것이 다를 뿐. 여행작가 수업 – 오래된 여행자 이지상의 매혹적인 글쓰기 지식과 정보의 바다를 누비며 헤엄치는 일은 늘 즐겁다. […]

여행작가 수업 – 오래된 여행자 이지상의 매혹적인 글쓰기 더 읽기"

과학자의 눈으로 본 창세기 – 과학은 성경을 지지한다

과학자의 눈으로 본 창세기 11월 초, 며칠을 ‘과학자의 눈으로 본 창세기’ 를 읽는데 할애했다. 과학자들은 보통 성경을 근거없는 신화로 치부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책은 표지에 ‘과학은 신학을 지지한다’ 라고 써있는 것이 눈길을 끌었다. 저자가 과학과 신학 양 쪽 학위를 모두 가진 분이라는 점 역시 책을 더 읽고 싶게 만들었다. 보통 창조과학 하는 분으로는 지질학자가 많던데,

과학자의 눈으로 본 창세기 – 과학은 성경을 지지한다 더 읽기"

지금 인생을 라이팅하라 & 인생이 두근거리는 노트의 마법

1.지금 인생을 라이팅하라 & 인생이 두근거리는 노트의 마법 어제오늘 두 권의 책을 읽었다. ‘지금 인생을 라이팅하라’ 와 ‘인생이 두근거리는 노트의 마법’ 이 바로 그것이다. 둘 다 종이에 손으로 적는 메모에 관련된 책이다. 하지만 다른 책과 다른 점은 ‘라이프 로그 life log’ 를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2.라이프 로그란? 라이프 로그란 블로그와도 그 개념이 비슷하다. 즉, 시간순으로

지금 인생을 라이팅하라 & 인생이 두근거리는 노트의 마법 더 읽기"

북피디아 Bookpedia(2) – 블로그나 에버노트 링크 추가하기

나는 보통 책을 읽으면서 내용 요약과 그에 관한 생각은 에버노트에 정리해 두고, 블로그에는 감상이나 소개글을 올린다. 북피디아에는 갖고있는 책이 아니라 읽은 책과 읽고 싶다고 찜해놓은 책만 넣어두고 있다. 그런만큼 블로그와 에버노트에 있는 글을 링크해 두는 것은 중요하다. 오늘은 ‘북피디아 Bookpedia(2) – 블로그나 에버노트 링크 추가하기’ 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한다. 북피디아 Bookpedia(2) – 블로그나 에버노트 링크

북피디아 Bookpedia(2) – 블로그나 에버노트 링크 추가하기 더 읽기"

북피디아 Bookpedia(1) – 내가 즐겨쓰는 맥 독서관리 프로그램

북피디아 Bookpedia – 내가 즐겨쓰는 맥 독서관리 프로그램 아이폰을 쓰기시작한지도 어느새 10년이 다 되어간다. 그동안 이런저런 앱으로 독서관리를 해왔다. 그중에서도 iReadItNow는 정말 최고의 독서관리용 앱이었다. 하지만 업데이트가 한동안 되지 않아 불편할 때마다 다른 앱을 사용하다보니 일관성도 없었다. 리디페이퍼를 쓰면서 칼리브레를 사용하긴 했지만, 어디까지나 전자책을 관리하기 위한 것이었다. 종이책과 전자책, 그리고 북저널까지 아우를 수 있는 다른

북피디아 Bookpedia(1) – 내가 즐겨쓰는 맥 독서관리 프로그램 더 읽기"

재미있게 읽은 ‘맛있는 세계사’ 내용 정리

재미있게 읽은 ‘맛있는 세계사’ 내용 정리 작년 11월, ‘맛있는 세계사 – 음식 인류 역사 1만 년을 가득 채운 그 달콤 쌉싸래한 이야기’ 를 읽고 소개한 적이 있다. 이 글은 그 책 내용에 대한 요약 정리다. 1. 빵 ‘빵’ 이라는 말은 포르투갈어 pão 빠오(프랑스 말로는 pain 뺑)에서 유래한 말이다. 15세기 이후 포르투갈 상선이 출몰했는데, 1549년 예수회

재미있게 읽은 ‘맛있는 세계사’ 내용 정리 더 읽기"

파타고니아 – 브루스 채트윈

파타고니아 – 브루스 채트윈 오래전, 몰스킨 노트를 쓰기 시작했을 때쯤 읽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책 띠지에도 써있다 시피, ‘여행 문학은 브루스 채트윈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는 평도 있고 해서 기대가 대단했었다. 하지만 내 취향에는 맞지 않았고 기대했던 것과도 많이 달라 이렇게 유명할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해했었다. 이 책에서 눈에 띄었던 구절은 브루스 채트윈의 글이 아니라 오히려 인용된

파타고니아 – 브루스 채트윈 더 읽기"